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1987" 줄거리, 역사적 사건, 세상을 바꾼 선택

by judosee 2024. 6. 5.
반응형

<영화 '1987' >

 

영화 "1987"은 2017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로, 고(故)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시작으로 6월 항쟁까지 대한민국 현대사의 분수령이 된 1987년의 사건들을 담고 있습니다. '지구를 지켜라!'의 장준환 감독이 연출한 역사 드라마 영화로 1987년 6월 항쟁의 기폭제가 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둘러싸고 진실을 은폐하려는 세력과 목숨을 걸고 진실을 알리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입니다. 당시 사건을 은폐하려던 상부 지시를 무시하고 법대로 부검을 강행한 최환 부장검사, 영등포 교도소에서 복역 중이던 전직 기자이자 민주화운동가인 이부영이 옆방에 수감된 고문 경찰관들을 통해 사건의 진실을 알게 되고, 이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노력하는 등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역사와 민주주의를 다룬 작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큰 감동과 영감을 주었습니다. 또한, 제39회 청룡영화상에서 최우수작품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등 총 7개 부문에서 수상하는 등 작품성도 인정받았습니다.

 

 

줄거리

영화 '1987’은 1987년에 일어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전두환 군사 독재 시절, 민주화 운동을 하던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는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당시 수사관들은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박종철을 중앙대 용산병원으로 이송했지만, 이미 박종철은 숨을 거둔 상태였습니다. 경찰은 이 사건을 병원에서 사망한 것으로 조작하려 했으나, 이를 거절당했습니다. 사건의 진실을 알게 된 교도관 한병용과 다른 교도관들은 사건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 조카인 연희에게 수배 중인 재야인사인 민주화 운동의 조율사 김정남과의 접촉을 부탁합니다. 이를 통해 박종철의 고문치사사건이 사실로 밝혀지고, 분개한 시민들은 '6월 항쟁’을 일으킵니다. 이 영화는 당시의 역사적인 사건을 재현하며, 그 시기의 억압받던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과거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그 시기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게 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면, 영화는 박종철의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한 후, 당시의 경찰이 사건을 은폐하려는 노력을 그립니다. 그러나 사건의 진실을 알게 된 교도관 한병용과 다른 교도관들은 이를 막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들은 조카인 연희에게 수배 중인 재야인사인 민주화 운동의 조율사 김정남과의 접촉을 부탁하고, 이를 통해 박종철의 고문치사사건이 사실로 밝혀집니다. 이 사건은 국민들 사이에 큰 파장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6월 항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항쟁은 전두환 군사 독재 정권에 대한 국민들의 반발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습니다.

 

 

역사적 사건

한 대학생이 사망합니다 탁 치니 억하고 죽었답니다 심장 마비라고 합니다. 이 사건을 두고 영화는 여러 사람들의 긴박한 이야기로 전개가 됩니다. 영화 속 검사는 시신을 검사하기 전 화장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시신을 본 의사는 심장마비가 아니라고 이야기합니다 부검을 담당한 의사는 고문에 의한 질식사라고 소견서를 작성합니다. 기자는 은폐되어 진행된 고문에 의한 죽음을 취재합니다. 언론사 데스크 부장은 검열이 난무하는 보도지침 따위 무시하라면서 기사로 내보냅니다. 교도소 교도관은 제야 인사와 갇힌 언론인의 소통을 은밀히 도와줍니다. 바로 영화 "1987"에 나온 여러 사람들의 행동이었습니다. 영화는 바로 1987년 일어난 6월 민주항쟁을 다루고 있습니다. 당시 정부는 전두한 정부였습니다. 1980년 5.18 민주화 운동 때는 대한민국 국민들을 향해 군인들이 총을 발포하도록 했던 정부입니다. 이렇듯 정통성이 없으니 불법적 방법으로 정부를 유지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1987년 박종철이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물고문을 받다가 사망합니다. 놀라운 건 이때 박종철은 참고인으로 끌려왔을 뿐입니다. 자칫하면 그냥 묻혀버릴 뻔했던 한 대학생의 죽음, 이 죽음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이 시대를 살고 있었던 사람들이 움직입니다. 겉으로 보기엔 무슨 뭐 대단한 일을 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저 자신이 해야 할 일을 했을뿐입니다. 검사는 검사답게, 의사는 의사답게, 기자는 기자답게, 신부는 신부답게 그저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했을 뿐입니다. 그런데 이 시대에는 그 마땅한 일이 양심선언이라는 대단한 일로 보여졌습니다. 시대가 당연한 양심마저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세상을 바꾼 선택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은 전두한 정부의 치명적 아킬레스건인 1987년 5월 18일 518 민주화운동 7주기 추모식에서 세상에 밝혀지게 됩니다.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에 불이 붙게되는 결정적 순간입니다. 이렇게 시작된 1987년 6월 항쟁, 이 영화에는 의외의 배우가 등장합니다. 강동원은 아마도 허구의 인물일 거라고 생각됐었는데 퍼즐이 하나 둘 맞춰지면서 그가 6월 민주항쟁의 또 다른 희생양 이한열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배우 김태리, 이 영화에서 연희 역할을 맡고 있는데 연이가 이한열에게 묻습니다. '데모하러 가요?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어요?'. 이 장면이 바로 영화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거대한 벽 무서운 공포의 벽 도저히 넘을 수 없을 것 같은 단단한 벽. 그러나 1980년대의 시대정신은 이한열을 앞세워 가장 먼저 앞으로 달려 나가 소리치게 했습니다. 우리는 여전히 1987년 체제에 살고 있습니다. 6월 민주항쟁이 쟁취한 5년 단임에 의한 대통령 직선제가 지금도 계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1987년 그 뜨거웠던 유월의 아스팔트 위에서 있었던 수많은 사람들의 꿈, 그 꿈이 지금 우리의 현실이 되어 있습니다. 영화의 마지막은 그 시대 사람들의 간절한 소망 시대 정신을 구호로 외치며 끝납니다. '호헌철폐, 독재타도!'.

반응형

댓글